1964년 생우 선물계약 상장으로 CME그룹의 축산물 상품이 거래되기 시작했으며 1966년 돈육 선물과 1971년 비육우 선물이 뒤를 이었습니다.
축산물 헤지 거래
축산물 산업 참가자들에게 축산물 및 식육 제품의 판매와 구매에 자연스럽게 내재된 가격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헤지 수단을 제공합니다. 가격 리스크를 줄이려는 시장 참가자들은 헤징을 통해 리스크를 감수하며 수익을 얻고자 하는 다른 시장 참가자들에게 리스크를 전가하게 됩니다.
축산물 시장 헤지 거래자는 다음과 같은 사람이 포함됩니다.
돈육 농부, 암소/송아지 생산업자, 사육장 운영업자, 수출업자처럼 가격 하락 시 보호 장치가 필요한 사람
어린 비육우를 구매하는 사육장 운영업자, 식육 가공업자, 수입업자와 같이 가격 상승 시 보호 장치가 필요한 사람
헤지는 근본적으로 선물이나 선물옵션 시장에서 현재 자신이 현물시장에서 취하고 있는 포지션의 정반대 포지션을 취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현물시장 가격과 선물시장 가격은 함께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현물시장에서 발생하는 손실이나 이익이 선물시장에서의 이익이나 손실로 균형을 맞추게 됩니다.
예시
예를 들어, 젖을 뗀 송아지들을 방목해 기르고 있는 비육우 생산업자가 있는데, 그는 송아지가 적절한 체중에 도달하면, 사육장에 판매할 계획입니다. 시장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 생산업자는 현물 매수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헤지를 통해 판매가를 확정하기위해 선물시장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하면 됩니다. 즉, 비육우 선물 계약을 지금 매도한 후, 현물시장에서 자신이 기르고 있는 소를 파는 시점에 다시 선물계약을 매수하면 됩니다.
한편, 사육장 운영업자, 식육 가공업자, 수입업자, 그리고 미래에 축산물과 식육 제품을 구매할 계획이 있는 다른 사람들은 현물 "매도" 포지션에 있는 셈입니다.
예를 들어, 가공할 돈육을 구매할 식육 가공업자는 자신이 필요한 돈육을 구매하기 전 가격 상승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돈육 선물시장에서 매수 포지션을 취하여 미리 가격을 확정코자 합니다. 즉, 지금 돈육 선물계약을 매수하고, 나중에 필요한 돈육을 구매할 때 선물 계약을 매도하게 됩니다.
매수, 매도 시기 결정 방법
축산물 선물계약을 매수할 것인지, 매도할 것인지 결정하는 데 좋은 경험법칙 하나를 소개하겠습니다. 훗날 현물시장에서 축산물을 실제로 팔 계획이라면 현재의 올바른 헤지 전략은 선물을 매도하는 것입니다. 미래에 현물시장에서 축산물을 구매할 계획이라면 오늘의 적절한 헤지 전략은 선물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스펙 거래자들은 대부분 상업 거래의 반대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선물시장의 헤지 거래에 유동성을 제공제공합니다. 그들은 축산물 가격 변동의 방향과 시기를 예측함으로써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를 보고 시장에 참여합니다. 그 과정에서 스펙 거래자들은 시장에 유동성을 제공하며 헤지 거래자들에게 유동성을 제공합니다. 유동성이란 시장을 언제든지, 손쉽게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축산물 판매자나 구매자 입장에서 선물 포지션은 가장 기초적인 가격 리스크 관리 전략입니다. 선물 매도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판매자는 실제 현물 판매에 앞서 판매 가격을 확정 지을 수 있어, 가격 하락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으며 선물 매수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구매자는 실제 현물 구매에 앞서 구매 가격을 확정 지을 수 있어, 가격 상승 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옵션 전략
하지만 만약 축산물 헤지 거래자가 불리한 가격 변동에 대한 보호 장치를 확보하되, 시장 가격 변동이 발생할 때 이익을 얻고자 한다면, 옵션이 그러한 보호 장치와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헤지 거래자가 활용할 수 있는 두 개의 기본적인 옵션 전략이 있습니다.
구매자는 축산물 선물을 지정된 가격에 매수할 권한만을 주는 "콜옵션"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콜옵션을 활용하면 구매자는 자신이 구매할 가축의 최대 가격, 즉 "최고가"를 확정 짓는 한편, 기회가 발생할 경우, 현물시장의 더 낮은 가격에서 매수할 수 있게 됩니다.
반면 판매자라면 축산물 선물을 지정된 가격에 매도할 권한만을 주는 "풋옵션"을 매수할 것입니다. 풋옵션을 활용하면 축산물 판매자는 자신이 판매하는 가축이나 식육 제품의 "최저가"를 확정 짓는 한편, 기회가 발생할 경우, 현물시장의 더 높은 가격에서 판매할 수 있게 됩니다.
요약
이 모듈은 축산물 헤징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모듈을 통해서 더 자세한 헤징 전략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