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 선물시장은 거래소에서 수급 세력의 정점을 나타내는 매수와 매도를 통해 "발견되는" 소와 돼지에 대한 가격을 제공합니다.
축산물 선물시장은 거래소에서 수급 세력의 정점을 나타내는 매수와 매도를 통해 "발견되는" 소와 돼지에 대한 가격을 제공합니다. 축산물 현물가격과 선물가격은 일반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는 효과적인 가격 리스크 헤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소와 돼지를 매입하거나 판매하는 시장참가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해당 지역의 현물가격과 공급업자가 제시하는 가격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 가격은 선물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과는 다릅니다.
그 이유는 각 지역시장에서는 축산물의 선물가격이 수요공급 요인 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품질이나 위치, 운송 비용 등에 따라서도 조정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가격의 차이를 베이시스라고 하며 현물가격에서 선물가격을 뺀 것으로 양수가 될 수도있고, 음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마이너스의 베이시스는 "디스카운트"된 것으로 불리는데, 즉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낮은 경우이며, 포지티브 베이시스는 "프리미엄"으로 불리는데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높은 경우입니다.
베이시스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
베이시스는 왜 중요할까요? 축산업자나 정육업자들이 가지고 있는 현물시장의 가격 리스크를 선물로 헤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또, 언제 선물 포지션을 구축하고 청산할지; 그리고누구와 현물을 매매해야 할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점은 베이시스는 헤지거래 시에 최종적으로 주고 받는 가격 기준으로 헤지거래의 최종 손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축산물 베이시스 계산
축산물의 베이시스를 결정하는데 한 가지 문제는 어떤 현물 가격을 적용해야 것인가 입니다. 세계에는 수 많은 축산물 현물시장이 존재하지만 헤지거래자가 필요로 하는 것은 자신이 주기적으로 구매하거나 판매하는 특정 지역시장뿐입니다.
베이시스를 계산하는 데 이용되는 선물가격은현물 매매 시점이 지난 그 다음 가장 가까운 계약월의 가격이어야 합니다.
예시
예를 들면, 9월 현재, 축산업자가 다음 해 2월에 가축사육장으로 송아지를 판매하려고 하는 경우를 보겠습니다. 이 축산업자는 3월물 육우선물계약 숏포지션을 취하려 할 것입니다. 3월물 육우선물의 가격은 헌드레드웨이트당 152달러이며 자신의 지역의 2월 현물가격은 보통 3월물 선물가격보다도 2달러가 디스카운트되어 거래됩니다.
2달러 디스카운트 상황에서 이 축산업자가 헤지거래를 통하여 고정하려는 대략적인 판매가격은 헌드레드웨이트 당 150달러가 되며, 이는 3월물 육우선물 가격에서 베이시스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베이시스를 이해하는 데 핵심사항 중 한 가지는 현물가격이 선물가격 대비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베이시스 강세 또는 약세 여부입니다. 베이시스 값이 커질수록 또는 마이너스 값이 적어질수록 베이시스 강화라고 합니다. 반대로 마이너스 값이 커질수록 또는 플러스 값이 적어질수록 베이시스는 약화라고 합니다.
베이시스 강화는 숏 헤지거래자에게는 판매가격의 상승을 가져올 것입니다. 앞의 사례의 예를 들어 2월 중순의 베이시스가 예상했던데로 2달러 디스카운트가 아닌 1달러 디스카운트 되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순 판매가격은 선물과 현물 거래 양쪽을 모두 감안하면 헌드레드웨이트 당 150달러가 아닌 151달러가 될 것입니다.
만약 현물시장 가격이 선물시장 가격보다도 더 하락하게 되면 베이시스는 "약화"된다고 표현됩니다. 예상했던 것보다도 베이시스 약화된다면 판매가격을 하락시킵니다. 만약 베이시스가 2달러 디스카운트에서 3달러 디스카운트로 변한다면 순 판매가격은 149달러가 될 것입니다.
매수 헤지와 베이시스
매수 헤지거래자에게는 베이시스가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여러분도 예상하다시피 정반대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즉, 매수 헤지거래자는 베이시스가 약화되면 이익을 봅니다. 3월 현재 시점에 육류 포장업자가 다가오는 9월에 돼지를 구매하려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이 포장업자는 10월물 돈육선물 계약의 롱 포지션을 구축하려 할 것입니다. 돈육선물은 현재 헌드레드웨이트 당 70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해당 지역의 베이시스는 통상 선물가격 대비 5달러 프리미엄에 거래됩니다.
이 헤지거래는 예상 구매가 75달러로 귀결될 것입니다. 즉 선물 가격 70달러에 예상되는 베이시스 프리미엄 5달러를 더한 금액입니다. 그러나 만약 베이시스가 강화된다면 — 즉 이 경우 베이시스 값이 더욱 커져서 — 5달러 가 아니라 막상 9월이 되어 7달러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러면 순 구매가격은 헌드레드웨이트 당 77달러, 즉 70달러 더하기 7달러가 됩니다.
반대로, 만약 베이시스가 약화되어 5달러 프리미엄에서 3달러 프리미엄이 된다면, 순 구매가격은 헌드레드웨이트 당 73달러, 즉 70달러 더하기 3달러가 됩니다. 매수 헤지거래자는 베이시스의 약화로 이익을 보며 숏헤지거래자는 베이시스의 강화로 이익을 봅니다.
결론
여러분께서 보시는것처럼 축산물 시장의 베이시스는 헤지거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선물을 통해 헤지함으로써 축산업자들은 베이시스 리스크를 취함으로 가격 리스크를 상당부문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베이시스 리스크는 일반적인 가격 리스크보다도 훨씬 적어 가격리스크를 가지고 있는것보다 유리합니다.
헤지거래자들도 거래 계획을 사전에 세우고 현물 매매 시점의 베이시스를 예측하고 과거 베이시스 자료를 활용하는것도 중요합니다.